분류 전체보기
-
졸면서 따라 치기Today I Learned 2022. 8. 28. 23:48
졸면서도 어떻게든 강의를 한 줄이라도 더 쳐보려고 하고 있다. 어느 순간 정신을 차려보면 눌린 키보드로 인해 화면에 같은 문자가 몇 줄씩이나 입력되어 있는 모습을 발견하곤 한다. 졸면서까지 강의를 따라 쳐야만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강의 반복 과제 수행 시 인출이 어려울 때 참고할 수 있는 일종의 이정표를 만들어놓는 작업을 하고 있다. 따라칠 때 매 강의 혹은 강의 내에서 주요한 과정마다 나눠서 Github에 커밋해 놓는데, 커밋 내역에서 소스코드의 변경 내역을 확인하는 식으로 소스코드의 특정 부분이 왜 그렇게 쓰였는지를 추측할 수 있다. 아쉬운 점이라면 졸 수밖에 없는 시간대까지 학습을 끌고 왔어야 했는가를 들 수 있을 것 같다. 특히 졸 때는 소스코드와 테스트 코드를 자주 왔다갔다하거나, 소스코드들 ..
-
상상도 못한 오류에 대처하는 자세Today I Learned 2022. 8. 27. 23:55
목요일에 올라온 추가 퀘스트 과제인 프로젝트 배포를 무려!!! 토요일 저녁에!!! 진행하고 있다. (걱정 마십쇼... 일요일이 가기 전까지 다른 것들 포함해서 다 해내고 말 것입니다.. 저는 잠을 모르는 싸나이기 때문에!) 동료분이 올려주신 아주 깔끔한 강의 정리본이 있어서 정리본과 강의를 교차해서 봐가면서 배포 과정을 진행하고 있었다. 배포를 진행하던 도중 강의에는 나오지 않는 오류들이 여럿 나타났다. 그 시작은 다음의 두 종류의 오류였다. 첫 번째로는 사용하는 buildpack을 탐지할 수 있도록 무언가 세팅을 해줘야 하는 것 같았다. 안내 페이지에 들어가서 확인해보니 이런 식으로 세팅을 해주라는 것 같아 php만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인 java로 바꿔서 설정을 적용했다. 두 번째로 뜬 오류는 만약..
-
Green을 봐야 한다Today I Learned 2022. 8. 26. 23:59
오늘 저녁에는 배경음악을 틀어놓고 퀘스트 과제에서 마치지 못한 부분을 작성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EgA6LIE1Wk 유튜브가 사람의 기분을 알기라도 하는 건지 센치한 J-Pop 노래 모음을 추천해줬다. 가사는 몰라도 노래의 소리라도 듣고 있으니 노래가 들려오는 순간만큼은 울적함은 조금 덜어지는 기분이었다. 한 번 기를 꺾기 시작하면 스스로의 안 좋은 점은 자꾸 강조 표시되서 보이고, 업적은 축소되어 보이는 것 같다. Low한 흐름의 연속에서 어느 한 번은, 이어지는 안 좋은 흐름을 확실히 잘라낼 필요가 있다. 일단 현재 상태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성취도에 대한 자괴감을 덜어내기 위해서는... 완료한 상태를 어떻게든 만들어내서 눈에 보이게 해야 하지 않을까 싶..
-
속도차이Today I Learned 2022. 8. 25. 23:59
오후 5시부터 Todo List 퀘스트 과제 소스코드를 작성하기 시작했다. 어제 트레이너님의 리뷰에 반복 과제의 일부분을 복사해와서 거기서부터 시작하는 것은 과제를 수행하는 의미가 없다는 지적이 있었고, 그것이 맞다고 생각해 Spring뿐만 아니라 React도 아무것도 없는 처음 상태부터 다시 만들기 시작했다. React는 App.js를 작성할 때 이전에 작성했었던 소스코드를 다소 참고했던 게 아쉬웠고, Spring은 막힘없이 강의 반복 과제의 내용과 비슷하게 진행했다. (그러고보니 CSS 속성 값 조정이 이제는 척척 쓰니까 척척 된다. 5주차때만 해도 CSS 알아야 할 양이 너무 많다고 느껴졌었는데... 신기할 따름이다.) 사실 화요일에 오늘 하는 정도의 결과를 내고 싶었다. 현실은 퀘스트 과제 수행은..
-
조금 다른 선택과 집중Today I Learned 2022. 8. 24. 23:58
오늘은 오후 일과 중 많은 시간을 동료들과 프로그래밍을 하는 데 할애했다. 1시부터 2시간 동안의 짝 프로그래밍을 수행했고, 저녁 이전까지는 개인적으로 강의 반복과제를 작성하면서 퀘스트 과제를 먼저 수행하고 있는 팀원들과 퀘스트 과제 수행에 필요한 React의 JavaScript 문법과 HTTP 상태 코드, 백엔드 처리 과정에 대한 의견과 과제 진행 방향성을 공유했다. 오늘은 저녁 이후에는 깔끔하게 멀티태스킹을 포기했다. 트레이너님께 한 시간 가량 JavaScript 문법과 React 라이브러리에 대한 도움 말씀을 듣기도 했고, 퀘스트 과제를 사실상 팀원들과 짝 프로그래밍에 준하는 식으로 풀고 있었다. 내 소스코드 조금 보다가 팀원 소스코드 봐주다가를 반복할 바에 차라리 팀원을 도와서 결과물을 빠르게 하..
-
Mockito로 도대체 뭘 테스트해야 하는 건데?Today I Learned 2022. 8. 23. 23:58
10주차 Spring Data 강의들 중 객체의 영속화를 다루는 강의를 보면 직접 구현했던 Repository를 JpaRepository를 상속받는 Interface로 구조를 바꾸는 부분이 있다. 기존에 만들어두었던 Repository의 메서드들은 모두 JpaRepository의 인터페이스 내부의 메서드들에 맞게 네이밍되어 있고 기능도 같아 Service나 Controller의 구조가 변경될 일은 없었다. 하지만 테스트 코드는 이야기가 달랐다. 기존에는 테스트 상황을 만들어주기 위해 테스트 메서드에서 직접 Repository 인스턴스를 선언하고 미리 데이터를 테스트에 맞게 설정해놓는 등 테스트 상황을 미리 만들어놓았었는데, Repository가 Interface가 되다 보니 그런 식으로 인스턴스를 만드는..
-
노인과 인우자유로운 소고 2022. 8. 22. 23:59
집 바로 앞의 전통시장을 가는 길에 역학 집이 하나 있다. 한 할아버님께서 하시는데, 가끔 귀여운 포메라니안을 데리고 오신다. 포메라니안하고 친해지다 보니 자연스럽게 할아버님과도 인사를 드리는 사이가 되었다. 전통시장 입구 쪽에는 떡집이 하나 있는데, 점포를 운영하시는 할머님과 할아버님 내외분이 항상 KIA 타이거즈 야구 경기 중계를 틀어놓으신다. 가다가 한화 이글스랑 경기하고 있으면 1이닝 정도 경기를 같이 보면서 이야기도 나누고 식혜나 약과 같은 간식거리들을 사 오곤 한다. 문득 궁금해진다. 요즘같이 정보의 변화 속도가 하루가 멀다하고 빠른 지금 시대에, 노인 분들은 정보 흐름의 변화를 어떻게 바라보실까? 비록 내가 지금 정보흐름의 최전선에 가까운 분야의 공부를 이어가고 있지만, 나 또한 수십년이 지..
-
메가테라 웹 개발자 과정 9주차 주간 회고주간 회고 2022. 8. 21. 23:56
항상 새로운 주가 지옥도라는 표현은 너무 자주 쓰다보니 이제는 그런 표현을 쓰기에 조금 물리는 느낌도 있다. 그런 부분을 감안하더라도 이번 주의 성취도는 개인적으로 그 동안에 느꼈던 것 이상으로 불만족스럽게 느껴졌다. 1. 몇 번을 다시 봐도 모르겠던 적은 없었다 항상 새로운 주는 충격이었다. 파일 입출력을 배우면서 Transaction, transacions, List, loadTransactions 뭐 이런 것들이 화면에서 춤을 췄던 4주차, 압도적인 양의 태그와 선택자, 속성값들이 반겨줬던 HTML, CSS 주차, 패키지와 클래스들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구조도 이전 주차보다 확 복잡해졌던 HTTP 주차, 화면이 어노테이션의 노란 물결로 잠식되었던 스프링 1주차들 모두 처음 마주했을 때는 그래도 여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