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2022년 8월 13일 TIL - 산더미같은 Task의 양에 대처하는 자세카테고리 없음 2022. 8. 13. 23:58
오랜만에 7시간 가량 잠을 자고 일어나 준비를 마친 뒤 오후 1시에 새로 올라온 강의를 확인하기 위해 notion에 접속했다. 말을 잇지 못할 만큼 무시무시한 양의 강의와 키워드들이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JavaScript 사용을 위한 기초 세팅, 3개의 강의에 걸쳐서 주어지는 JavaScript의 기본 문법, 모던 JavaScript 문법, Jest에다가 또 3개의 강의에 걸쳐서 주어진 React 강의까지... 다급해진 마음에 일단 어서 빠르게 강의를 1회독을 해보자는 생각으로 강의를 키고 1.5~2배속으로 듣기 시작했다. 그러나 첫 강의인 JavaScript 개발 환경 세팅부터 쉽지 않게 느껴졌고, 처음 접하는 JavaScript 문법 활용은 말그대로 코딩쇼처럼 느껴졌다. 안 좋은 습관인 앞 내용으..
-
2022년 8월 12일 TIL - 혼동되는 변수명을 사용하면 생기는 문제Today I Learned 2022. 8. 12. 23:56
이전 주차에 출제되었던 코딩 도장 문제들 중 이번 주 수요일 코딩 도장 문제로 다시 주어졌던 부족한 금액 계산하기 문제를 풀던 중 있었던 이슈를 간단히 정리해본다. (수요일 문제를 금요일에 풀은 이유는... 쉿...) 우선 기존에 문제를 풀었던 방식인 반복문을 통해 놀이기구의 이용 횟수가 누적됨에 따라 증가하는 놀이기구의 이용 금액을 합산하는 방식 대신, 메서드를 재귀 호출하는 방식을 이용해 문제 풀이를 시도했다. ❗️ 여기서 잠깐! 재귀 호출이란? 메서드 내에서 메서드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것을 뜻한다. 반복문은 재귀 호출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재귀 호출 역시 반복문의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메서드에는 재귀 호출을 중단하고 값을 반환하기 시작하는 Base Case가 정의되어 있어야..
-
2022년 8월 11일 TILToday I Learned 2022. 8. 11. 23:57
주간 과제 마카오 레터 과제의 중간에 추가된 요구사항 중 선택한 페이지 번호에 따라 어떤 게시글들을 리스트업해서 보여줄지 결정하는 구조를 작성한 과정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해당 과정은 일단 PageGenerator 구현체에서 직접 구현을 시도했으며, Repository의 저장된 게시글들이 담긴 컬렉션 전체가 들어오고, 게시글의 개수에 따라 페이지 번호는 적절히 출력된다고 가정한다. 1. 요구사항에서 규칙을 찾아 규칙화 1. 각 페이지마다 게시글이 최대 5개가 보여져야 한다는 점을 파악했다. 2. 각 페이지가 컬렉션에서 최대 어느 인덱스 범위만큼을 보여야 할지 생각해보았다. 페이지 1은 인덱스 0~4, 페이지 2는 5~9, 페이지 3은 10~14, 페이지 4는 15~19, ... 이런 식으로 인덱스 범위가..
-
2022년 8월 9일 TIL - 코드는 쳐지는데 찜찜하네...Today I Learned 2022. 8. 9. 23:36
오늘도 강의 반복 과제와 퀘스트 과제를 열심히 고민하면서 소스코드를 작성하고 있다. 토요일까지만 해도 코딩쇼 같았던 어노테이션 선언과 의존성 주입, Layered 구조 구성이 이제는 강의에서 나오는 내용과 비슷한 수준은 강의를 들춰보지 않고도 슥슥 칠 수 있을 정도가 되고 있다. 아쉬운 점은 그렇게 인출해내서 칠 수 있는 어노테이션들 중 어떤 어노테이션들에 대해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 내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식으로 작동되는지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이해한 상태가 아니라는 것이다. 왜 Controller의 테스트 코드에는 @WebMvcTest 어노테이션을 붙여야 하는가? private MockMvc mockMvc에 붙는 어노테이션 @Autowired는 왜 붙는 것인가? 왜 @WebMvcTest 어노테이션에 ..
-
2022년 8월 8일 TIL - 마이페이스Today I Learned 2022. 8. 8. 23:33
메가테라 웹 개발자 과정에서 매주 주어지는 강의 반복 과제와 퀘스트는 매주 모두 같은 시작점에서 시작한다. 과제 수행을 마치고 PR을 올리면 진도 체크 시트에 체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진도 체크 시트를 들어가게 되고, 그러다보면 다른 팀원분들의 과제 진척 정도에 눈길이 가곤 한다. 이번 주차를 시작하면서 새로 다짐했던 점은 '내 페이스를 잃지 않는 데 집중하자'였다. 이월 5주차 프로젝트 주간부터는 같은 시점에 다른 동료들보다 과제 수행 정도가 미진한 점을 보면서 나만의 페이스를 잃어버리는 때가 종종 있었다. 월요일이 마무리되어가는 현재, 과제 진행 상태를 살펴보면 반복과제는 일과 종료 후 1시간 40분 가량을 추가로 투자해 완성했고, 첫 번째 퀘스트 과제인 거래내역 조회를 수행하고 있는 상태이다. 마음..
-
메가테라 웹 개발자 과정 7주차 (2) 주간 회고주간 회고 2022. 8. 8. 00:31
이번 7주차는 정규 과정이 이월되기 전에 들었었던 주차의 내용들 중 가장 마지막 주차이면서, 그 이전 주차들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방대한 양의 강의가 주어지면서 우리 기수 모두에게 주간 반복 과제의 성과 측면에 있어서 상당한 좌절감을 안겨줬었던 주차였다. 기대 30%, 걱정 70%로 들어선 한 주였지만 금요일까지 마치고 난 뒤 한 주를 돌아보는 시점에서는 '이걸 해냈구나' 싶은 마음이 스스로에게 위안을 주는 한 주였다. 7주차에 있었던 이슈들 중 기억에 남는 몇 가지를 짚어본다. 한정된 시간 동안 손사래가 쳐질만큼 방대한 양의 개념들을 대하는 자세 나의 경우에는 이번 7주차의 시작에 6주차의 망령이 함께했다. 7주차에 주어진 강의들을 다시 보면서 6주차 동안 마치지 못했던 HTML, CSS 과제들과 코딩 ..
-
2022년 8월 7일 TIL - 어...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린다?Today I Learned 2022. 8. 7. 23:58
이번 주는 드디어 이월 복습 기간이 완전히 끝나고 새로운 웹 개발의 영역으로 발을 들이기 시작하는 첫 번째 주이다. Java를 이용해 웹 서버를 구축하는 프레임워크인 Spring에 대한 강의가 주어졌다. 이번 주 강의의 내용은 지난 주에 구현했었던 웹 서버 기반 마카오뱅크를 Spring을 이용해 구현하는 내용이었다. 만들어지는 프로그램의 기능은 지난주와 사실상 같은데 Spring을 이용해 구현한다는 데에서 차이가 있었다. 그래서인지 강의에서는 이미 알고 있는 마카오뱅크가 수행해야 하는 기능에 대한 정의에 대해서는 금방금방 넘어가면서 Spring을 이용해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고려해야 하는 구조, 어노테이션, Spring이 관리하는 객체에 대한 접근 방식 등 지난 주에 작성했었던 Spring으로 어떻게 구..